전체 글 (10) 썸네일형 리스트형 주택임대사업자라면 부기 등기 꼭 하세요 ✅ 부기등기란? 등기부등본에 추가로 기재하는 내용으로 쉽게 말하면, 원래 부동산 등기에는 집주인의 이름, 소유권 정보 등이 적혀 있는데, 여기에 "이 집은 임대사업자용으로 등록된 집이에요"라는 정보를 추가로 표시하는 것입니다. ✅ 왜 부기등기를 해야 할까? 주택임대사업자로 등록하면 혜택이 있어요. 예를 들어: 취득세나 재산세 감면, 양도세 중과 배제 등의 혜택이 있는데요👉 그런데 이런 혜택을 받으려면 "이 집은 임대용이에요" 라고 **공식적으로 표시(부기등기) 해야 합니다 ✅ 어떤 집에 부기등기를 해야 할까? 등록 대상 -임대사업자로 등록한 주택 필요 시점 -임대사업자 등록 후 3개월 이내 -미이행 시 각종 세제 혜택이 취소될 수 있음 ✅ 부기등기 하는 법 1. 임대사업자 등록: 지자체 또는 온라인(정.. 전월세 전환율이란 요즘 부동산 시장을 이야기할 때 자주 등장하는 개념이 있습니다. 바로 전월세 전환율입니다. 이 전환율은 금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임대차 계약을 맺을 때 아주 중요한 기준이 되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전월세 전환율이 무엇인지, 금리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지금 같은 고금리 시대에 전세가 유리한지 월세가 유리한지 살펴보겠습니다. ✅ 전월세 전환율이란?전월세 전환율이란 전세금(목돈)을 월세(매달 임대료)로 바꿀 때 적용하는 수익률 개념입니다. 예시로 설명해볼게요 전세금 1억 원인 집이 월세 40만 원으로 나왔다면, 전월세 전환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전월세 전환율 = (월세 × 12개월 ÷ 전세금) × 100 👉 (40만 × 12 ÷ 1억) × 100 = 4.8.. 무허가건물 1세대 1주택 비과세 받는 방법 무허가라도 주택이면 비과세 받을 수 있다!부동산 초보자분들 중에는 “무허가건물도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을까?” 하는 궁금증을 가지신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오래된 단독주택이나 농가주택, 시골집 등을 상속받거나 보유하고 계신 경우, 등기조차 되어 있지 않은 무허가 상태의 건물들이 적지 않죠.그런데 놀랍게도, 이런 무허가건물이라도 일정 요건을 갖추면 ‘1세대 1주택 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핵심은 이 무허가건물이 실제로 주거용으로 사용된 주택이었는가에 있습니다.세법상 ‘주택’이란 단순히 건축허가나 등기 여부로 판단하지 않고, 실제 사람이 거주할 수 있도록 구조되어 있고, 실제 거주한 흔적이 있는 건물이면 인정됩니다. 예를 들어 전기와 수도가 들어오고, 주방과 화장실 등 기본적인 주거시설을.. 이전 1 2 3 4 다음